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설계의 품격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설계의 품격

검색하기 폼
  • 개발 (183)
    • IT (41)
    • AI (1)
    • 설계 (1)
      • Axure (1)
    • 프로그래밍 (138)
      • SQL (34)
      • Python (18)
      • Linux (2)
      • HTML , CSS (40)
      • JS, jQuery (4)
      • C언어 (8)
      • C++ (1)
      • JAVA (8)
      • Spring (16)
      • JSP (2)
      • Git (3)
      • IntelliJ (2)
    • DB (2)
    • N의 상상 (0)
  • 방명록

IT (41)
스크럼

스크럼 (SCRUM) ex) 죠스바 팀 1. 비전 3~5년 짜리 계획. 전세계 사람들이 죠스바 한번 이상 먹어보게 하기 2. 로드맵 1년짜리 계획이나 목표. 1분기 콜라보, 2분기 수출, 3분기 15억명 먹이기, 4분기 영화 출시 등 3. 백로그 3개월 동안 할일 목록(1분기) 상세화 콜라보 어떻게 할지 4. 릴리즈 플래닝(출시계획) 월별로 출시 계획 5. 스프린트 - 플래닝, 백로그 2~4 주짜리 계획, 상세화 6. 스프린트 - 데일리 스크럼 본격적 스프린트 데일리 스크럼 : 하루 업무 시작 전 일의 진척도와 문제점 등 회의 7. 프로덕트 인크리먼트 (결과물) 콜라보 상품 자체 8. 스프린트 리뷰 관계자들이 다들 모여서 리뷰 후 다음계획 회의 9. 스프린트 회고 팀원들 끼리만 모여서 스프린트 중 느낀점..

IT 2021. 10. 9. 10:50
애자일 방법론

애자일 방법론 절차보다는 사람 중심 변화에 유현하고 신속하게 적응 효율적으로 올바른 시스템 개발 신속 적응적 경량 개발방법론 폭포수 모델에 대비되는 방법론 개발 기간이 짧고 신속하며, 개발과 함께 피드백을 받아서 유동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XP, 린, 스크럼 등

IT 2021. 10. 9. 10:50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시스템의 요구분석부터 유지보수 까지 전 공정을 체계화한 절차이다. 1. 요구사항 분석 기능 요구사항, 비기능 요구사항 2. 설계 논리적으로 결정, 프로그램 설계 등 3.구현 실제 프로그램 작성 4.테스트 5.유지보수 시스템 인수 후 일어나는 모든 활동

IT 2021. 10. 9. 10:49
나선형 모델

나선형 모델 (Spiral Model) 진화적 프로토타이핑 모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개발해 나가는 모델 1. 계획 및 정의 각 사이클별 목표 설정 2. 위험 분석 위험 식별 3. 개발 프로토타입 or 완제품 개발 4. 고객 평가 고객이 소프트웨어 평가 추가 반복 수행여부 결정 계위개고 장점 위험 감소, 품질 향상, 대규모 개발에 적합 단점 과정의 시간소요가 높고 복잡하다, 다수 상용제품에 부적합

IT 2021. 10. 9. 10:49
폭포수 모델

폭포수 모델 (Waterfall Model) 각 개발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 이전 단계를 확실히 마무리 지은 후에 다음단계로 넘어간다 장점 많은 적용사례, 현재 단계에 대해 이해 용이, 문서(산출물) 관리 용이 단점 병행 불가, 결함 대응 저하, 요구사향 변경 어려움 적합한 프로젝트 단순한 요구, 쉬운 난이도, 유사경험 존재, 산출물 명확

IT 2021. 10. 9. 10:49
스위치와 라우터

스위치 (Switch) 목적지로 출발한 데이터가 스위치를 거치게 되면, 스위치는 데이터의 목적지를 파악하여 적합한 경로로 스위칭. Learning : 처음 본 MAC 주소를 자신의 테이블에 기록 Flooding : 데이터의 목적지가 불분명한 경우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퍼뜨림 Forwarding : 목적지를 알고 있을 경우 그쪽으로 보냄 Filtering : 해당 목적지 경로로 가는 포트를 제외한 다른 포트를 모두 막음 Aging :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은 MAC 주소를 삭제 위 다섯 가지 기능을 반복 하여 작동. 라우터 (Router) 데이터의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이 보유한 정보를 토대로 목적지까지의 적합한 경로를 찾아주는 라우팅 기능. 차이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MAC주소 기..

IT 2021. 10. 9. 10:46
메모리 계층구조

메모리 계층구조 메모리를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로 나누어 둠을 의미. 이때 필요란 대부분의 경우 CPU가 메모리에 더 빨리 접근하기 위함. 레지스터와 캐시는 CPU 내부에 존재. 당연히 CPU는 아주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메모리는 CPU 외부에 존재한다. 레지스터와 캐시보다 더 느리게 접근 할 수 밖에 없다. 하드 디스크는 CPU가 직접 접근할 방법조차 없다. CPU가 하드 디스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하드 디스크의 데이터를 메모리로 이동시키고, 메모리에서 접근해야 한다. 아주 느린 접근 밖에 불가능하다. 컴퓨터는 속도가 느리고 용량이 큰 기억장치의 내용 중에서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속도가 빠른 기억장치로 옮겨 놓고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기억장치 액세스 속도를 개선하는 전략 사용 기억장..

IT 2021. 10. 9. 10:45
HTTP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TCP/ IP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토콜 비연결성 프로토콜 요청/응답 방식

IT 2021. 10. 9. 10:44
OSI 7 Layer

OSI 7 Layer (OSI 7계층) 네트워크 통신에서 생긴 여러 가지 충돌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시한 네트워크 기본 모델 1계층, 물리 계층의 역할 디지털 신호(0 과 1)를 전기신호로 변환(Encoding) 그 전기신호를 받아 다시 디지털 신호로 바꿔서 해석(Decoding) 1계층, 물리 계층 장비 컴퓨터, 인코더, 디코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 MAC(Media Access Control); 매체 접근 제어, 올바른 동호수 찾아줌. ex) 00:1A:2B:3C:4D:5E Framing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장비 스위치 : 같은 네트워크 간 올바른 주소에 전달 라우터 : 스위치를 연결,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 공유기 이렇게 수많은 네트..

IT 2021. 10. 9. 10:42
TCP/UDP

TCP/UDP TCP/IP의 전송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신뢰성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TCP를 사용 연결지향형 프로토콜 UDP User Datagram Protocol 간단한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전송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UDP를 사용 비 연결지향형 프로토콜

IT 2021. 10. 9. 10:40
이전 1 2 3 4 5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
TAG
  • html
  • spring
  • 백준
  • 선택자
  • 파이썬
  • 스토어드 프로시저
  • C언어
  • intellij
  • 프로토콜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모델
more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